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5

연차 발생기준 및 연차수당 계산방법 (2023년 근로기준법, 회계연도 기준) 안녕하세요. 오늘은 직장생활에 꼭 필요한 연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많은 분들이 연차 발생기준과 계산법을 어려워하시는데요. 사실 회사원들에게 아주 중요하고 소중한 거잖아요!! 잘 알아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지 않도록 해요!! >> 연차 유급휴가란? 연차 유급휴가란 근로기준법 제60조에 의거하는 법입니다. 근로자들의 일반적인 생활권을 지켜주기 위해 마련된 근로기준법 제도로 근로자가 원하는 날짜에 따라 유급휴일을 주어야 하는 법입니다. 근로기준법 제60조 1. 사용자는 1년간 80퍼센트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 15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개정 2012.2.1] [[시행일 2012.8.2]] 2. 사용자는 계속하여 근로한 기간이 1년 미만인 근로자 또는 1년간 80퍼센트 미만 출근한 근로자에게 1개월.. 2023. 3. 1.
중소기업 소득세 감면 신청방법 및 대상자 오늘은 중소기업에 재직 중이신 분들을 위한 중소기업 소득세 감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많은 분들이 중소기업에 재직 중이실 텐데요. 저 또한 중소기업에 재직 중입니다!! >> 중소기업 소득세 감면 제도 중소기업 소득세 감면 제도는 2012년 중소기업의 인력지원 및 청년 취업난 해소를 위해 시행되었습니다. 청년, 장애인, 경력단절여성, 60대 이상 노년층의 중소기업 취업을 장려하기 위한 제도라고 합니다. 중소기업 소득세 감면은 최초 취입일 기준으로 적용되므로 취업 후 최대한 빨리 신청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신청하지 않은 기간은 감면받지 못하고 버리는 꼴이 되어 버립니다. >> 중소기업 소득세 감면 신청 기간 신청기간은 연말정산을 하는 2월에 신청하셔야 합니다. *만약 연발정산 시 신청하지 못했.. 2023. 2. 22.
여권 발급 기관 및 여권 발급 기간 아직도 코로나가 수그라들지 않고 있는데요. 다들 코로나 때문에 3년동안 해외여행을 편하게 다녀오시지 못하셨죠? 코로나가 아직 유행이긴 하지만 코로나 완화가 되고 있어 관광에 대한 모든 제한을 해체했습니다. 그리서 많은 분들이 외국여행을 준비하고 계실거에요! 오랫동안을 여행을 다니지 못해 많은 분들이 여권 유효기간이 얼마 남지 않아 여권을 갱시해야 하는 분들이 많으실 것 같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여권 발급 기관과 발급 기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외교부 여권안내 홈페이지 www.passport.go.kr >> 여권 발급 기관 여권 발급을 위해서는 본인이 직접 방문하거나 인터넷으로 신청하셔야 합니다. 전자여권을 발급하신 적이 없으시다면 직접 방문해야하는데요. 여권발급대행기관(시,군,구청 등)이 전국에 239.. 2023. 2. 8.
2023년 청년내일채움공제 신청방법 및 변경사항 2023년 청년내일채움공제 내용이 변경되었다고 합니다. 정부에서 중소기업에 재직하고 있는 재직자와 사회초년생을 위한 목돈 마련과 중소기업을 오래 다닐 수 있는 장기고용을 촉진시키기 위해서 만든 정책입니다. 내일채움공제는 청년형과 현직형 두 가지로 나뉘는데요. 2023년 청년형 사업을 그래도 유지하고, 현직형을 '직원 내일채움공제 플러스'로 새롭게 정책이 변경되었다고 합니다. >> 청년내일채움공제란? - 청년이 중소기업에서 장기근속할 수 있도록 청년, 기업, 정부가 2년간 공동으로 적립하여 청년의 자산형성을 지원하는 제도 - 청년은 초기 경력형성을 통한 미래설계 기반 마련 - 기업은 우수인재를 안정적으로 고용할 수 있도록 지원 > 그림으로 설명하는 청년내일채움공제 >> 청년내일채움공제 vs 재직자내일채움공.. 2023. 2. 1.